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벽돌의 규격, 쌓기방식, 줄눈 디자인

by riarch 2025. 1. 9.
반응형

 

 

벽돌의 역사와 종류 : 점토벽돌,파벽돌,고벽돌,플라이애시 벽돌,콘크리트벽돌

벽돌의 규격, 쌓기방식, 줄눈 디자인벽돌은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해 오던 건축 재료입니다. 따라서 건축 설계를 할 때 다양한 치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죠. 가장 대표적으로 조적벽의 두께는 벽

wt-space.com

 

벽돌은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해 오던 건축 재료입니다. 따라서 건축 설계를 할 때 다양한 치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죠. 가장 대표적으로 조적벽의 두께는 벽돌의 쌓기 방식에 따라 100mm, 200mm 등으로 정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벽돌의 표준 규격은 정해져 있지만 요즘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벽돌들도 많이 등장하습니다. 그럼 기준이 되는 벽돌의 크기와 다양한 쌓기 방식에 대해 알아볼까요?

 

벽돌의 규격

표준벽돌의 규격 : 190x90x57mm

벽돌의 표준 규격은 KS(한국산업규격)에 따라 190x90x57mm로 정해져 있습니다. 벽돌의 치수가 조금 애매하게 보이진 않나요? 벽돌의 규격이 애매하게 정해진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벽돌은 쌓을 때 시멘트 몰탈로 벽돌을 고정시키죠. 이 시멘트 몰탈의 두께를 고려한 것인데요. 보통 몰탈 10mm정도를 더하여 벽돌 1개의 크기를 200x100x65~70m 정도로 잡습니다.

표준벽돌의 규격

 

롱브릭의 규격 : 300~500x90x57mm

롱브릭은 말 그대로 긴 벽돌입니다. 롱브릭의 사이즈는 일반 벽돌과 너비와 높이 사이즈는 대부분 같지만 길이가 300, 340, 390, 500 등으로 길어집니다.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무거운 벽돌을 운송하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벽돌을 길게 만들면 파손이 잦았죠. 하지만 도로가 좋아지고, 벽돌이 외장재로서 디자인 요소로 쓰이면서 현대에는 다양한 크기의 벽돌들이 생산됩니다. 하지만 현재에도 일반벽돌에 비해 롱브릭의 운송이 어려운 것은 사실인데요. 따라서 생산단가는 두 벽돌이 얼마 차이나지 않지만 운송비에서 단가 차이가 크게 벌어진 다고 합니다. 설계에 롱브릭을 적용하실 때 벽돌 생산업체에 벽돌 단가와 함께 운송비도 함께 체크하시면 공사비 파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롱브릭의 규격

 

이형벽돌

우리가 흔히보는 직육면체의 벽돌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벽돌이 생산됩니다. 점토벽돌의 경우에는 표준사이즈의 벽돌에서 조금씩 변형된 벽돌들이 나오는데요 한쪽 모서리가 둥근 형태부터 위에브가 진 벽돌, 모서리에 사용하는 벽돌 등이 있습니다.

콘크리트 벽돌의 경우 형틀을 더욱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규격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벽돌들이 많이 생산됩니다. 특히 큐블럭으로 잘 알려진 정육면체 벽돌을 변형한 다양한 디자인이 나옵니다.

삼한 C1의 이형벽돌
두라스택의 큐블럭

 

벽돌의 쌓기방식

 

기본 쌓기방식

길이쌓기 와 마구리쌓기 : 벽돌의 길이방향이 보이도록 쌓는 방식을 길이쌓기, 벽돌의 마구리(옆면)이 보기에 쌓는 방식을 마구리쌓기라고 합니다. 길이쌓기는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쌓기 방식이며 길이쌓기로 쌓았을 때 두께가 90으로 0.5B쌓기라고도 합니다. 마구리쌓기는 마구리부분이 보이도록 쌓는 방식으로 마구리쌓기로 쌓았을 때는 두께가 190이 되므로 1B쌓기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주로 화장실에 쓰이는 조적벽은 100mm 또는 200mm으로 잡습니다.

길이 쌓기와 마구리쌓기

 

전통적인 쌓기 방식

그 외에 영식쌓기 네덜란드식 쌓기 미국식 쌓기 프랑스식 쌓기 등이 있습니다. 그중 네덜란드식 쌓기는 통줄눈이 생기긴 하지만 시공이 간결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며, 영국식쌓기는 통줄눈이 생기지 않는 쌓기 방식 가장 간결하여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쌓기 방식입니다.

네덜란드식 쌓기와 영국식 쌓기

 

프랑스식 쌓기

다양한 쌓기 방식

요즘에는 전통적인 쌓기 방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쌓기 방식을 선보입니다. 벽돌 사이사이에 빈공간을 둔 영롱쌓기는 시선은 차단하지만 빛은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는 쌓기 형식으로 많은 방식으로 변형되어 다양한 건물에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벽돌 자체를 깨거나 비스듬하게 쌓는 방식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벽돌에 구멍이 있는 부분을 깨서 디자인에 활용한 입면도 인상깊었습니다.

파벽돌과 영롱쌓기(한남동 근생)
벽돌의 구멍부분을 깨서 쌓아올린 입면(한남동 근생)

벽돌의 줄눈

벽돌을 쌓을 때 벽돌을 단단하게 잡아주어 쌓아올릴 수 있도록 하는 줄눈도 벽돌 건물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가로줄눈만 돋보이게 디자인 할 수도 있고, 줄눈을 아예 부각시켜 줄눈이 더 눈에 띄도록디자인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로줄눈을 돋보이게 강조한다면 벽돌의 수평선이 강조되며, 줄눈을 부각시킬 경우 벽돌의 선적인 느낌보다는 매스의 건물 전체의 매스 느낌이 강조됩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줄눈을 이용하여 벽돌과 유사하게 보이게 의도하기도 하며, 대비되는 색상을 사용해 벽돌과 줄눈을 더욱 부각시키기도 합니다. 건축가의 의도에 따라 벽돌이라는 하나의 재료에서도 수 많은 디자인이 만들어집니다.